본문 바로가기

Good To Know

독일에서 프리랜서/Kleinunternehmer(소상공인)로 일하기

한 때 프리랜서 일을 고민하면서 Kleinunternehmer에 대해 알아봤던 것들을 정리해 봄

일정 수입 이하면 세금을 안내도 되는 방법이다.

Kleinunternehmer는 뭔가요?

Kleinunternehmer 인 경우 부가가치세(VAT)를 부과하지 않도록 선택할 수 있음

 

요건:

  • 작년 수익이 22,000 € 미만일 경우
  • 올해 예상 수익이 50,000 € 미만일 경우

프리랜서(Freiberufler), 상인(Gewerbe) 및 유한 책임 회사(UG)는 Kleinunternehmer 가 될 수 있음

 

 

Kleinunternehmer의 장점

  • 부가가치세(VAT)를 부과하지 않는다
  • 서류 작업 감소: VAT 신고서(Umsatzsteuererklärung, 연간)나 VAT 사전신고(Umsatzsteuervoranmeldung, 월별 또는 분기별)를 제출할 필요가 없음
  • 소비자/고객을 위한 가격 인하: 소비자/고객은 더 적은 금액을 지불하지만 본인의 수입은 동일함 (기업고객은 자신이 지불한 부가세를 환급받으므로 VAT를 부과해도 상관 없다)

*주의사항

  • 사업 비용에 대한 VAT 환급 없음

부가세를 부과하는 경우 사업 비용에 대한 부가세를 환급을 받음(예; 업무용 태블릿을 구매하면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다) 즉, 그렇지 않을 경우 모든 비용에 대해 부가세를 지불해야 함.

지출이 많다면 부가세를 부과하고 부가세 환급을 받는 것이 좋다.

  • 비즈니스가 성장할 경우 복잡해짐

연간 수익이 22,000 € 이상 증가하면 VAT부과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을 인상하고, 송장을 변경하고, 회계 도구도 변경해야 하게 된다. (가격을 올리면 고객을 잃을 수 있음) 연간 22,000 € 이상을 벌 계획이라면 처음부터 부가세를 부과하는 것이 더 쉽다

 

Kleinunternehmer가 되는 방법

1. Finanzamt(세무서)에 등록

Finanzamt에 사업체를 등록할 시기는 본인이 결정. VAT을 부과하기로 선택한 경우 항상 부과해야 하고 5년 동안은 변경할 수 없다.

등록하는 법: Elster, Sorted나 개인세무사를 통해서 Fragebogen zur steuerlichen Erfassung(세무평가서) 작성 -> 작성하고 나면 받게 되는 번호들

  • 세금 번호 (= Tax number/Steuernummer, 기업과 프리랜서에게 고유한 번호)
  • VAT를 부과하는 경우 VAT 번호 (= VAT number/Umsatzsteuernummer,Umsatzsteuer-Identifikationsnumer(USt-IdNr.), 부가가치세를 부과하는 기업용)
  • 필요한 경우 하는 경우 상업등기소에 등록 (Handelsregister/무역등록부)

세금번호, VAT 번호 헷갈려요? 저도요..ㅜ 그래서 여기에 정리해 놓았어요

2. 인보이스 업데이트

VAT를 부과하지 않는 경우 문구 추가

영어: “In accordance to § 19 UStG, no value added tax is charged.”

독일어: “Gemäß § 19 UStG wird keine Umsatzsteuer berechnet.”

EU 고객을 위한 VAT은 또 다르니 읽어보세요:

https://allaboutberlin.com/guides/value-added-tax#vat-for-customers-in-the-eu

 

ㅎ...

참고한 사이트:

https://allaboutberlin.com/guides/kleinunternehmer